'게보르겐하이트'에 해당되는 글 2034건

  1. 2025.04.07 :: 2025.04.08(화) 눅 20:19-20
  2. 2025.04.06 :: 2025.04.07(월) 눅 20:1-18
  3. 2025.04.05 :: 2025.04.06(주일) 눅 19:28-48

눅 20:19-40

성숙한 어른의 지표 가운데 하나는.
"자기의 잘못을 겸손히 인정"하는 것이다.
나의 연약함과 나의 모남을. 애써 부인하지 않으며.
하나님 앞에 자기 자신을 돌아보며. 정직히 뉘우칠 때.
우리는 성숙한 어른이 될 수 있다.

반대로.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끝까지 고집을 부릴 때.
그것보다 추한 것은 없는 것 같다.
"내가 이렇게 한 까닭은…"
"그건 니가 잘못 한 거고…"
"그건 그게 아니고. 이거고…"
그렇게 끝까지 상대방을 책잡고. 무너뜨리려 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을 보며. <추하다>는 말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힘으로. 자기의 권력으로 상대방을 짓밟고. 짓누르게 될 때.
우리는 그 사람을 향해. '나잇값' 하지 못한다고 하며.
'추하다'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오늘 본문에 나오는. 이스라엘 종교지도자들의 모습이 그렇다.
에수께서. 성전을 깨끗케 하시며. '악한 농부들의 비유'를 말씀하실 때.
그들은 자기의 잘못을 돌아보고. 정직히 뉘우치는 삶을 살았어야 했다.

하지만. 그들은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끝까지 예수 그리스도를 걸고 넘어지려 하였으며.
어떻게든 예수 그리스도를 짓밟고. 그를 무너뜨리려 하였다.

그래서 오늘 본문 20절을 보면.
"이에 그들이 <엿보다가>
예수를 총독의 다스림과 권세 아래에 <넘기려 하여>
<정탐꾼>을 보내어. 그들 스스로 의인인 체 하며.
예수의 말을 <책잡게> 하려"고 하는데.
이 모습이 얼마나 추잡하고. 더러워 보이는지 모르겠다.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고 돌이키는 게. 그렇게 어려운 걸까?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고. 겸손히 고백하는 게. 그렇게 어려운 걸까?


근데 곰곰히 생각해 보면. 이것보다 어려운 게 없는 것 같다.

왜냐하면. 그렇게 자기의 잘못을 고백하는 순간.
우리는. 지금까지 쌓아왔던 나만의 성이. 한순간에 무너질 것 같은.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내가 어떻게 살아왔는데. 한순간에 이걸 잃을 수 있어!"하는.
불안함과 두려움이 우리 마음을 사로잡기 때문이며.
여기서 뒤로 물러서고. 양보하는 순간.
우리는 한없이 뒤로 물러서고. 도망쳐야만 할 것 같은.
두려움과 염려 가운데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 안에 그 불안함과 두려움을 내려놓고.
하나님 아버지 앞에. 나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겸손히 인정하고. 그분께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내가 지금까지/여기까지 살아왔는데.
내가 그거 하나 모르겠냐"고 는 나의 교만함과 나의 오만함을 내려놓고.
하나님 아버지 앞에. 나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겸손히 고하고 나아갈  때.
오늘 주께서 우리 가운데 은혜를 주시며.
오늘 우리가 하나님 안에서. 자라가고 열매맺을 수 있는.
새로운 길/산 길을 열어주시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오늘 나의 삶이. 하나님 안에서 그랬으면 좋겠다.

특별히 오늘(월)부터. 금요일 밤까지.
국제제자훈련원에서 하는. 제자훈련 지도자 세미나를 참석하게 되는데.
이 시간이 오늘 나의 영적인 무지를 깨닫고.
하나님 앞에서. 끊임없이 배워가며. 또 성숙해 가는.
그런 복된 시간. 그런 복된 은혜의 시간되길 소망한다.

나의 의로움과 나의 지식과. 나의 오만함을 드러내는.
그런 자리가 아니라.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한없이 부족하고 연약한 자임을 깨닫는.
그런 세미나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고.
이 시간을 통해. 내 영혼이 새로워지고. 내 영혼이 거듭나는.
그런 복된 공간. 그런 복된 세미나 시간 되었으면 좋겠다.


그렇기에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 앞에 이 찬양의 고백으로 나아가게 된다.

"정결한 마음 주시옵소서. 오 주님.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정결한 마음 주시옵소서. 오 주님.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나를 주님 앞에서 멀리 하지 마시고.
주의 성령을 거두지 마옵소서.
그 구원의 기쁨 다시 회복시키시며.
변치 않는 맘 내 안에 주소서"

오늘 하루 주께서 우리 가운데.
하나님 아버지를 향한 진실한 마음과.
주님 안에서 정직한 마음. 겸손한 마음 허락해 주시길 간절히 소원하며.
오늘 하루를 겸손히 주님께 의탁한다.

(feat. 정결한 마음 주시옵소서)

 

 

'묵상_시냇가에 심은 나무 >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7(월) 눅 20:1-18  (0) 2025.04.06
2025.04.06(주일) 눅 19:28-48  (0) 2025.04.05
2025.04.05(토) 눅 19:11-27  (0) 2025.04.04
2025.04.04(금) 눅 19:1-10  (0) 2025.04.03
2025.04.03(목) 눅 18:31-43  (0) 2025.04.02
posted by The Sabbath
:

눅 20:1-18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오셨을 때.
예루살렘 성전에는 장사꾼으로 가득하였다.

그들은 이스라엘 종교지도자들과 결탁한 사람들이었는데.
희생 제사 때 사용되는 재물과. 성전세를 교환해주면서.
자신들의 배를 채우고. 그것의 일부를. 사람들에게 뇌물로 바치곤 했었다.

그래서 우리 주님이. 그 꼴을 참지 못해서.
성전을 엎어버리고. 뒤집는 일을 하게 되시는데.
이 일로 인해. 사람들이 예수를 찾아오게 된다.
"당신이 무슨 권한으로 이 일을 하는지" 묻고 따지기 위해서다.

그래서 오늘 본문 1절을 보면.
"예수께서 성전에서 백성을 가르치시며 복음을 전하실새.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장로들과 함께> 예수님을 찾아오게 되는데"
이 일이 참 우습고. 황당하게 느껴진다.

도대체 예수께서 무슨 잘못을 범하셨길래.
이와 같이 힘으로 짓밟으려 한단 말인가.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 쓰는 것"보다. 어리석고 미련한 짓이 없는데.
이들은 왜 예수 그리스도를 향해서. 이와 같은 일을 벌이고 있단 말인가.

그것은. 그들의 행동에. 정당성이 없기 때문이다.
말이 안 되니. 쪽수로 밀어붙이려 하고.
이렇게 해서. 자신들의 입지를 세우고. 자신들의 세를 불리려 하였다.


근데 생각해 보면. 이번만 그런 게 아니다.
예수님이 감람산에서 기도하실 때도 그랬다.

실제로 누가복음 22장을 보면. 우리 주님이 감람산에서 기도하실 때.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과. 장로들이 함께 예수를 잡기 위해 몰려드는데"
이들을 향해 우리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너희가 강도를 잡는 것 같이 검과 몽치를 가지고 나왔느냐"

이것은 그들의 행동이.
단순히 한 번/우발적으로 벌어진 일이 아님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들은 이것이. 습관이 되었었다.
말 안 듣는 사람이 있으면 때려 잡고.
말로 안 되면 힘으로 짓밟으려 하고.
그렇게 사람들을 괴롭히고. 가스라이팅 하면서.
지금까지 자신들의 배를 불려 왔는데.
이보다 더 나쁜 행동/악한 행동은 없었다.
"아니! 어떻게 이스라엘 종교 지도자들이 이와 같은 행동을 한단 말인가…"


근데 생각해 보면. 오늘날도 그와 같은 사람들이 있다.

전광훈은 하나님의 이름을 들먹이며.
아직도 종교 장사를 하고. 그것을 자신들의 세를 불리려 하며.
자기의 말을 듣지 않는 사람들을 향해서.
"악한 사람들. 죄인"이라는 프레임을 뒤집어 씌우곤 한다.

전광훈만 그런 것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 곁에도. 아무 못된 습관을 가지고. 살아가는 이들이 있다.
"목사의 말을 듣지 않으면. 혼난다"고 하고.
어떤 질문이나 물음 앞에서는. "조용히 하고. 입 닫으라" 하고.
그렇게 자신들의 힘과 권위를 앞세워서.
사람들을 조종하고. 사람들을 죽이려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주님은. "악한 농부들의 비유"를 말씀하시며.
오늘 우리가 그와 같이 되지 말라고 경고하시는데.
오늘 나의 삶이. 하나님 앞에서. 그랬으면 좋겠다.

내게 주어진 힘과 권위를. 나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그분을 위해 사용하였으면 좋겠고.
혹시나 오늘 나의 삶이 실수하고 넘어지거든.
"니가 뭔데 나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냐?"며. 따지고 항변하는 삶이 아니라.
"나의 잘못을 겸손히 인정하고. 돌이킬 수 있는"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시간이 가면 갈수록.
나의 생각이 굳어지고. 나의 마음이 딱딱해지는.
그런 어리석음과 완고함의 죄가 덜해지면 좋겠고.
하나님 앞에 끊임없이 배워가며. 온유함과 겸손함으로 옷입는.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었으면 좋겠다.


그렇기에.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 앞에 이 찬양의 고백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예수. 하나님의 아들. 말씀으로 오신 주.
그 말씀을 믿는 자들마다. 새로운 마음 주시네.
예수. 하나님의 본체. 사랑으로 오신 주.
그 사랑이 날 찾아오셔서. 새로운 마음 주시네.

우리의 마음 돌이켜. 주의 말씀 앞에 나와.
모든 우상들 다 버리고. 하나님만 경배하네.

새로운 맘 주시고. 주님의 성령을 부으사.
우리 안에 굳은 마음. 제하여 주님의 마음 주소서.
그리하여 내 삶이. 주의 말씀 안에 거하며.
주의 영광 주의 나라. 드러나는 삶 되게 하소서.

우리의 마음 돌이켜. 주의 말씀 앞에 나와.
모든 우상들 다 버리고. 하나님만 경배하네.

새로운 맘 주시고. 주님의 성령을 부으사.
우리 안에 굳은 마음. 제하여 주님의 마음 주소서.
그리하여 내 삶이. 주의 말씀 안에 거하며.
주의 영광 주의 나라. 드러나는 삶 되게 하소서"

오늘 하루 주께서 우리 가운데. 새로운 마음을 창조하시고.
오늘 우리가 하나님 형상을 따라.
새롭게 빚어지고. 새롭고 만들어지는.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길 소망하며.
오늘 하루도 주님 앞에. 겸손히 무릎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feat. 새로운 마음)

 

 

'묵상_시냇가에 심은 나무 >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8(화) 눅 20:19-20  (0) 2025.04.07
2025.04.06(주일) 눅 19:28-48  (0) 2025.04.05
2025.04.05(토) 눅 19:11-27  (0) 2025.04.04
2025.04.04(금) 눅 19:1-10  (0) 2025.04.03
2025.04.03(목) 눅 18:31-43  (0) 2025.04.02
posted by The Sabbath
:

눅 19:28-48

우리 주님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다.
이것은 그 당시 황제의 대관식에 빗댄 모습인데.
로마 황제가. 이 땅을 자신의 힘과 권력으로 다스렸다면.
우리 주님은. 이 땅을 다스리시며.
당신의 겸손함과 당신의 온유함을 보이실 것을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 본문 35절을 보면.
"우리 주님이. 나귀 새끼 위에 타서. 예루살렘에 입성"하게 되는데.
재밌는 것은. 이 모습을 보며.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맞이하고. 기쁨으로 주를 바라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늘 본문 36절을 보면.
"우리 주님이 가시는 길에. 사람들이 자신의 겉옷을 길 위에 펴고" 있으며.
37절에서는.
"온 무리가 자기들이 본 바 모든 능한 일로 인하여. 기뻐하며 큰 소리로 하나님을 찬양하였다"고 말한다.

"찬송하리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왕이여.
하늘에는 평화요. 가장 높은 곳에서는 영광이로다(38절)"라고 말하며.

이 일이 너무 시끄럽다고 책망하는 사람들 앞에서는.
우리 주님이 스스로 목소리 높여 이렇게 말씀하신다.
"만약 이 사람들이 침묵하면. 돌들이 소리 지르리라(40절)".
이것은 이 사람들의 반응이. 아주 자연스럽고 당연하다는 것이다.

우리 주님이 이 땅에 오신 목적은.
당신의 백성들을 굽어 살피시며. 그들을 구원하는 것이며.
오늘 우리 주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는 것은.
그저 자기 한 목숨을 버리고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대업을 완성할 놀라운 일임을.
우리에게 동시에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오늘 이스라엘 백성들이. 주를 기쁨으로 맞이하였던 것처럼.
오늘 나와 우리 공동체도. 하나님 앞에서. 그와 같은 삶 살아가길 소망한다.

오늘 우리가 드리는. 삶의 예배가.
주님을 기뻐하고. 주님을 맞이하는. 그런 복된 하루 되었으면 좋겠고.
오늘 우리가 드리는. 주일 예배가.
예수 그리스도의 왕 되심과 그분의 은혜를 선포하는.
그런 복된 예배. 그런 복된 우리 공동체 되면 좋겠다.

오늘 우리의 심령 가운데. 아기 예수님이 매일 찾아오시는.
그런 복된 우리의 삶 되었으면 좋겠고.
그렇게 주님을 찬양할 때. 오늘 우리의 마음 가운데.
불안함과 두려움이 떨쳐지는. 그런 우리 공동체 되며.
오늘 우리의 삶 가운데 주의 대로가 펼쳐지며. 시온의 영광이 비취는.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었으면 좋겠다.


그렇기에.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 앞에 이 찬양의 고백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사랑해요. 신실하신 나의 주님. 나의 삶 주님 안에 있네.
눈을 뜨는 아침부터. 나 잠들기까지. 오 선하신 주를 노래하리.

신실하신 나의 주님. 나의 삶을 인도하셨네.
나의 모든 호흡 다해. 오 선하신 주를 노래하리.

사랑해요. 나를 인도하신 주님. 고난 중에도 나와 함께 하셨네.
내 아버지 되시며. 내 친구되신 주. 나의 삶 주님 안에 있네.

신실하신 나의 주님. 나의 삶을 인도하셨네.
나의 모든 호흡 다해. 오 선하신 주를 노래하리.

주님의 선하심. 날 인도하시네. 주님의 선하심. 날 지켜주시네.
주께 엎드려 나의 모든 삶. 주님께 드리네.
주님의 선하심. 날 인도하시네"

오늘 하루 나와 우리 공동체가.
주님의 오심을 기다리며. 주의 오심을 찬양하는.
그런 우리 공동체 되길 소망하며.

오늘 우리의 삶 가운데.
주님의 신실하심과 거룩함이 가득한.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길 소망하며.
오늘 하루도 주님 앞에. 겸손히 무릎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feat. 주님의 선하심)

 

 

'묵상_시냇가에 심은 나무 >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8(화) 눅 20:19-20  (0) 2025.04.07
2025.04.07(월) 눅 20:1-18  (0) 2025.04.06
2025.04.05(토) 눅 19:11-27  (0) 2025.04.04
2025.04.04(금) 눅 19:1-10  (0) 2025.04.03
2025.04.03(목) 눅 18:31-43  (0) 2025.04.02
posted by The Sabba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