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 18:1-14
오늘 본문을 보면.
"불의한 재판장에 관한 비유"가 나온다.
이 사람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람을 무시하는.
아주 꼴통 재판관인데.
그는 자기 자신을 향해서도. 이렇게 말한다.
"내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람을 무시하나"
참 웃긴 말이지 않은가.
보통 사람들은 자기를 미화하고. 자기를 칭찬하기 마련인데…
자기 자신을 향해서.
"내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람을 무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니…
그런 측면에서 이 사람은. <꼴통>이 분명하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는 말처럼.
이 사람은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과 직분을.
자기의 사리사욕을 채우는데만 사용했으며.
공정한 재판과 정의로운 판결을 내리는데 있어서는.
아무런 관심도. 아무런 필요도 느끼지 못했었다.
그냥 사람들이 굶어 죽으면 그만이지.
그게 내 인생과 무슨 소용이 있냐며.
손을 놓고. 자기 밥그릇 챙기는데만 관심을 갖는.
그런 꼴통. 그런 철부지 재판관이었던 것이다.
근데 본문을 보면. 그 재판관에게 가서.
끊임없이 상소를 놓고. 하소연하는 사람이 나온다.
이 사람은. 그 도시에 살던 한 과부였는데.
그에게는 어떤 억울한 일. 원망스러운 일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밤낮 가리지 않고.
끊임없이 재판장에게 가서. 투서를 집어넣는데.
이 얘기를 듣고. 재판장이 이렇게 말한다.
"내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도 않고. 사람도 무시하나.
이 과부가 계속 나를 번거롭게 하니.
내가 그 원한을 풀어주지 않고서는. 도무지 살 수가 없구나.
왜냐하면… 만약 내가 그 원한을 풀어주지 않는다면.
이 사람이 끊임없이 내게 와서. 나를 괴롭게 하리니.
내가 어찌 그 얘기를 들어주지 않을 수 있겠느냐"
그래서 주님이 기도를 가르쳐 주시며…
우리 주님은 불의한 재판장과 같지 아니하니.
너희가 하나님 아버지 앞에. 끊임없이/속히 기도하라고 말씀해 주시는데.
오늘 본문 8절에 나오는 말씀이. 우리의 가슴/심장을 파고 드는 것 같다.
왜냐하면. 오늘 본문 8절에.
"그러나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고 하셨기 때문이다.
이 말은. 우리 주님이. "내가 속히 너의 기도를 듣고. 내가 속히 너의 원한을 풀어주겠다"고 말씀하시는데.
"오늘 이 땅 가운데. 과부처럼. 과연 기도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느냐"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주님이 하시는 말씀이…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속히 그 원한을 풀어 주겠지만.
오늘 너희 가운데. 정말 기도하고 엎드릴 자가. 얼마나 있냐?"며.
한탄하고 슬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오늘 이 말씀은.
우리의 심장/폐부를 푹 찔러 쪼개는 말씀이다.
왜냐하면. 오늘 우리의 인생이. 하나님 앞에 그와 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늘 이 땅을 살아가면서.
<기도의 중요성>과 <기도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우리 모두는. "기도를 왜 해야 하는지"도 알고 있으며.
"기도를 어떻게/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좀처럴 기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도하는 것보다. 말로/행동으로 앞서는 것이. 더 쉬운 우리이며.
기도하며. 하나님 앞에 탄원하는 것보다.
탄식하며. 하나님 앞에 절망하는 것이. 훨씬 더 쉬운 우리다.
그래서 전도서 기자가 말하기르.
"왕 앞에서 급히 물러가지 말라(전 8:3)"고 하였지만.
우리는 문을 닫고. 예배당을 나서는 것이 훨씬 더 쉬운 사람들이며.
그렇게 하나님 아버지 앞에. 죄를 짓고. 범죄하기 쉬운 것이 오늘 우리 인생들인데…
주님은 그런 우리의 습성을 아시고. 이와 같이 탄식/안타까워 하고 계신 것이다.
그렇기에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로 기도하겠다"는 숱한 다짐과 맹세가 아니라.
정말 하나님 앞에 겸손히 무릎 꿇고.
정말 하나님 앞에 겸손히 엎드리는. 그런 사람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누가 날 위해 가서 저들을 구원케 할꼬"라는 하나님의 질문 앞에.
이사야 선지자가 "주여 나를 보내소서"라고 답하였던 것처럼.
"오늘날 이 시대 가운데. 내가 과연 믿음을 볼 수 있겠느냐"고 주님 질문하실 때.
"주님! 내가 바로 그런 사람되기 원하며. 주님! 내가 바로 그런 사람입니다"라고 답하는 것이.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부르심이며.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뜻인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오늘 나와 우리 공동체가.
하나님 앞에 엎드리고. 하나님 앞에 기도하는.
그런 진실한 공동체. 그런 진실한 믿음의 친구들 되기 소원한다.
"충성된 사자는. 그를 보낸 이에게.
마치 추수하는 날에 얼음 냉수 같아서. 능히 그 주인의 마음을 시원하게 한다(잠 25:13)"고 하였던 것처럼.
오늘 나와 우리 공동체가. 하나님 앞에서 그와 같은 삶을 살아가면 좋겠고.
오늘 우리가. 항상 기도하고. 낙심하지 않는.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었으면 좋겠다.
그렇기에. 오늘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 앞에 이 찬양의 고백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주님 보좌 앞에 나아가. 참된 안식과 기쁨. 나 누리겠네.
경배하며 주의 얼굴 구할 때. 신실하신 주님 찬양해.
신실하신 하나님. 신실하신 주. 나의 주 하나님은 신실하신 주님.
기도 들으시는 하나님. 폭풍 속의 내 등불. 내 노래시라.
주의 날개 아래서 내 맘 쉬리니. 신실하신 주님 찬양해.
신실하신 하나님. 신실하신 주. 나의 주 하나님은 신실하신 주님.
평화 내려주신 하나님. 나로 고통받는 자를 위로하게 하소서.
나의 평생에 주의 사랑을 전하리. 신실하신 주님 찬양해.
신실하신 하나님. 신실하신 주. 나의 주 하나님은 신실하신 주님"
오늘 하루 나와 우리 공동체가.
신실하신 하나님 앞에 나아가. 무릎 꿇고 기도하는.
그런 우리 공동체 되길 소원하며.
오늘 나와 우리 공동체가. 죄와 악으로 물든 이 세상 가운데서.
낙심하지 아니하고. 주님 앞에 끊임없이 기도하며.
주님 앞에 끊임없이 간구하는.
그런 우리 공동체. 그런 나의 삶 되길 소망하며.
오늘 하루도 주님 앞에 겸손히 무릎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feat. 주님 보좌 앞에 나아가)
'묵상_시냇가에 심은 나무 >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3(목) 눅 18:31-43 (0) | 2025.04.02 |
---|---|
2025.04.02(수) 눅 18:15-30 (0) | 2025.04.01 |
2025.03.31(월) 눅 17:20-37 (0) | 2025.03.31 |
2025.03.30(주일) 눅 17:11-19 (0) | 2025.03.30 |
2025.03.29(토) 눅 17:1-10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