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27:15-26
'나니아 연대기'를 보면.
아슬란이. 피터를 대신해서. 자기 목숨을 내어놓는 장면이 나온다.
피터가. 왕을 시켜주겠다는. 마녀의 유혹과. 터키 젤리에 빠져서.
마녀에게 자기 목숨을 내어 주었을 때에.
아슬란이. 피터를 대신해서. 자기가 죽겠다고. 마녀에게 말한 것이다.
이에. 피터가 풀려나고. 아슬란이 대신 제단에 오른다.
C.S 루이스는. 이 모습을 가리켜.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이라 설명하였고.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희생을 통해서.
사단과 죄의 올무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이것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주어져 있는. 구속/대속의 은혜인 것이다.
오늘 본문의 기록도 그러하다.
그 당시. 명절이 되면. 무리가 원하는 죄수 가운데 하나를 풀어주는 관례가 있었는데.
이에. 빌라도는. 사람들 앞에서/무리 앞에서. 이렇게 물어본다.
"여러분. 제가 누구를 풀어주길 바랍니까?
<바라바>라 이름하는 예수입니까?
아니면. <그리스도>라 이름하는 예수입니까?"
빌라도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수를 시기하여 넘겨주었던 것을 알았기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들 앞에서. 의도적으로 이와 같이 질문한다.
아무리 눈을 씻고 살펴봐도. 예수께. 아무런 잘못이 없었기 때문에.
그를 풀어주고. 그를 놓아주려고 한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한 목소리로 외친다.
"그리스도라 하는 예수는. 십자가에 못 박고.
바라바라 하는 예수를. 우리에게 넘겨주시오."
이에. 빌라도는.
사람들의 성화에 못이겨서/민란이 일어날까 두려워 예수를 놓아주는데…
재밌는 것은. 성경 기자가. 의도적으로.
<바라바>라 하는 예수와. <그리스도>라 하는 예수를. 서로 대조/비교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바라바>라는 이름의 뜻이 무엇인가?
그 이름의 뜻은. <사람의 아들>이라는 것이고.
<그리스도>라 하면. <기름 부은 자>라는 뜻인데.
이 말을. 두 개 붙여서 설명하면. 이렇게 된다.
"사람의 아들을 풀어주고.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십자가에 못 박으시오."
이게 어찌 말이 되는 요구인가?
<사람의 아들>을 풀어주고.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니?
어찌. <죄 있는 자> 대신에. <죄 없는 자>가 죽을 수 있단 말인가?
그들은. 말도 안 되는. 터무니도 없는 요청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말도 안 되는 그들의 요구가.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었고. 그것이 하나님의 계획이었다.
당신의 뜻이 아니면.
공중에 있는 새 한마리도. 땅에 떨어지지 않게 하시는 분이.
<사람의 아들>을 내어주고. <당신의 아들>을 십자가에 달려 죽게 하신 것이다.
왜냐면? 우리를 너무 사랑하셔서.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당신의 아들을 내어 주시고.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당신의 아들을 보내 주시고.
우리를 사망과 죽음의 늪에서. 건지고. 구원하시기 위해.
우리 주님이. 당신의 아들을 보내주시고.
그를 통해.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막힌 담이 무너지고 회복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그렇기에. 사도 바울은. 이러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가리켜. 이와 같이 말한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서. 주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자기 몸을 내어주시고.
우리가 하나님과 원수 되었을 때에. 주께서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달리셨다"고 말이다.
그런 측면에서. 오늘 우리가.
그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는 것은.
오롯이. 주님의 은혜. 주님의 사랑 덕분이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친히/자원하심으로. 이 땅에 오셨기 때문에.
그래서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나음을 입을 수 있었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자기 몸을 아끼지 않으시고. 십자가에 기쁨으로 달리셨기 때문에.
그래서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을 얻을 수 있었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있는 모습 그대로 우리를 사랑하시고. 용납하시고.
끝까지 오래 참으시며. 우리를 포기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그래서. 오늘 우리가.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그분 안에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아침.
우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내어 주시고.
우리를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신. 우리 주님의 이름을 찬양하며.
그분 앞에 나아가. 그분의 이름을 부르길 원한다.
그리고. 이 찬양을 부른다.
"잊을 수 없네. 하나님의 사랑. 날 살리시려고 주신 생명.
내 십자가 지고. 오르신 갈보리 언덕. 날 향한 사랑 때문에
우리 때문에 생명 주셨고. 우리 때문에 고통당하셨네.
우리 때문에 갈보리 오르셨네. 무지한 우리 때문에."
오늘 하루. 이 찬양의 고백과. 생명의 말씀이.
오늘 우리 마음 가운데. 온전히/깊이 울려퍼지길 소원하며.
오늘 하루를. 겸손히 주께 의탁한다.
(feat. 우리 때문에)
'묵상_시냇가에 심은 나무 > 마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27(화) 마 27:45-56 (0) | 2022.12.27 |
---|---|
2022.12.26(월) 마 27:27-44 (0) | 2022.12.26 |
2022.12.23(금) 마 27:1-14 (0) | 2022.12.23 |
2022.12.22(목) 마 26:69-75 (0) | 2022.12.22 |
2022.12.21(수) 마 26:57-68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