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6:7-13
예수께서 제자들을 보내시며. 이렇게 말씀하신다.
"길을 떠날 때에는. 지팡이 하나 밖에는 아무것도 가지지 말고.
빵이나 자루도 지니지 말고. 전대에 동전도 넣어 가지 말아라.
너희가 어느 집에 들어가든지. 그 곳을 떠날 때까지 거기 머물러 있고.
어느 곳에서든지 너희를 영접하지 않거나. 너희 말을 듣지 않거든.
그 곳을 떠날 때에. 너희 발에 묻은 먼지를 떨어버려서.
그들을 고발할 증거물로 삼아라."
이에 제자들이 예수께 권능을 받아. 복음을 전하러 나가는데…
예전에는. 예수님의 말씀이. 심플 라이프(simple life)를 지칭하는 줄 알았다.
복음 전도자로서 우리가 가져야 할 소명은.
많은 것을 가지지 않고. 심플하게 사는 것이며.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공급하심을 따라.
그분의 은혜 가운데/그분의 은혜를 따라 사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물론. 그것도 오늘 본문에서 중요한 것이지만.
오늘 말씀을 읽는데. 새로운 관점으로 오늘 본문이 보이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까닭이.
<단순히 하나님의 공급하심과 인도하심을 따라 살아라>는 것을 넘어서서.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채고. 그것으로 스스로 왕 되고. 스스로 교만해지지 말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늘 본문을 보면.
주께서 제자들을 파송하실 때.
그들에게 <악한 귀신을 억누르는 권능>을 주시는데.
이것은 주께로부터 온 것이다.
하나님이 제자들에게 은사를 주셔서.
그들이 그것으로 병 고침을 얻게 하였고.
주께서 악한 귀신을 억누르는 권능을 주셔서.
그들은 이것으로. 악한 귀신을 내어쫓고. 주의 복음을 전할 수 있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제자들을 추종하고. 그의 말을 듣게 되었는데.
여기서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챌 수 있겠는가.
<내가> 무엇을 했기 때문에. <내가> 어떤 일을 했기 때문에.
그래서 <우리가> 영광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것>이며. <하나님의 은혜>다.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채서는 안 되고.
이 일로 인해. 우리가 콩고물을 얻고.
그것으로 우리의 사리사욕을 챙기고. 내가 왕이 되고. 내가 선지자가 되어선 안 된다.
우리는 오직. 주의 부르심을 따라. 주께 보내심을 받은. 주의 자녀들이며.
우리는 그분의 종이며. 우리는 그분의 청지기일 따름이다.
그래서 우리 주님은.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다.
"너희가 어떤 고을에 들어가서. 말씀을 전하고. 복음을 전하게 되거든.
그곳을 떠날 때에. 지팡이 하나 외에는 다른 것을 가져서는 안 된다.
사람들이 너에게. 돈을 챙겨주고. 돈을 찔러줄 때도.
그것을 받아선 안 될 것이며.
그들이 너로 하여금. 여기 머물러 주고. 여기 있어 달라고 하여도.
그 사람들에게 메이고. 거기 머물러서도 안 될 것이다.
오직 우리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라. 주의 길을 가는 사람들이니.
너의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고. 너의 마음을 굳게 하여라.
작은 누룩이. 우리를 병들게 하고. 우리를 오염시키는 법이니.
작은 것에 타협하지 말고. 작은 것에 너의 마음을 내주지 말아라.
이것이 오늘 너를 향한. 나의 마음/나의 법이니라"
그런 측면에서. 오늘 이 말씀은.
오늘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것을 가르치고 있다.
실제로 오늘날 많은 목회자들이. 타락하고 변질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채고.
스스로 하나님이 되고. 스스로 왕이 되었기 때문이다.
많은 은사와 능력을 가진 분들이.
처음에는. 순수한 마음으로/깨끗한 마음으로 주의 일을 시작했다가.
마지막에 가서. 타락하고 변질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을 자신의 왕국을 만들고.
그것으로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웠기 때문이다.
내게 있는 모든 것이. 주께로부터 왔음을 망각하고.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생각하고.
내가 모든 것을 다스리고. 내가 모든 것을 통치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그때부터 타락하고. 그때부터 변질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사람들이 자기를 추종하고. 자기를 주목하는 것에 대해서.
매우 경계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바울이 루스드라에서.
태어나면서부터 걷지 못하던 사람을 고쳐줄 때…
사람들이 자기를 향해.
"신들이 사람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내려왔다"고 하자.
"어찌하여 이런 일들을 하십니까?"라고 하면서. 옷을 찢고 마음을 찢었던 게 사도 바울이며(행 13:8-15).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미문 앞에 앉아 있던 사람을 보고.
그를 낫게 하고. 그를 고쳐줄 때에도.
"어찌하여 우리를 주목하느냐"하고. 항변하고 저항할 수 있었던 것도.
그들의 마음 가운데. 예수님의 가르침이. 순수하게/온전히 살아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오늘 주님이. 나에게 이렇게 물어보시는 것 같다.
"너는 어떻게 살 것이냐?
너는 무엇을 구하고. 무엇을 따라 살 것이냐?
네게 있는 모든 것이. 내게로부터 오고. 내게로부터 왔음을 기억하고.
나에게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 것이냐?
아니면. 사람들이 너를 주목하고. 사람들이 너를 바라보는 삶을 살게 할 것이냐?"
우리 주님의 이 질문 앞에. 나도 이렇게 답하길 원한다.
"주님. 내게 있는 모든 것이. 주께로부터 왔으니.
주께 영광 돌리고. 주님 앞에 무릎 꿇는 삶 되길 원합니다.
하나님의 것을 내 것이라고 속이지 않고.
하나님의 것을 내 것이라고. 가로채지 않길 원합니다.
사울이 아말렉과의 전투에서.
하나님의 것을 가로채고.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다가.
하나님의 심판을 받고. 하나님의 형벌을 받았던 것처럼.
오늘 나의 삶이. 하나님 앞에서 그와 같은 잘못/우를 범하지 않게 하여 주시고.
오늘 나의 삶이. 제자들처럼. 또 사도 바울처럼.
주님께 영광 돌리고. 주님을 주목하는.
그런 내가 되고. 그런 우리 공동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오늘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의 존재가.
하나님께 걸림돌이 되고. 하나님께 모욕이 되는.
그런 우리의 삶 되지 않게 하여 주시고.
오직 우리의 삶이. 하나님께 기쁨이 되고.
하나님의 정결한 통로로 살아가는.
그런 내가 되고. 그런 우리 공동체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오늘 이 말씀이.
단순히 우리의 머리를 채우고. 우리의 지식을 채우는 말씀이 되지 않게 하여 주시고.
오늘 이 말씀을 따라.
우리가 주께 뿌리를 내리고. 우리가 주께 뿌리를 박는.
그런 우리 공동체 되고. 그런 나의 삶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그렇기에. 오늘 하루를 살아가며.
하나님 앞에. 이 찬양의 고백으로 나아가길 원한다.
"나 주님의 기쁨되기 원하네. 내 마음을 새롭게 하소서.
새 부대가 되게 하여 주사. 주님의 빛 비추게 하소서.
내가 원하는 한가지. 주님의 기쁨이 되는 것.
내가 원하는 한가지. 주님의 기쁨이 되는 것"
오늘 하루. 나와 우리 공동체의 삶이.
주님께 기쁨이 되고. 주님께 영광이 되는.
거룩한 삶. 온전한 삶 되길 소망하며.
오늘 하루를 겸손히 주께 의탁한다.
(feat. 나 주님의 기쁨되기 원하네)
'묵상_시냇가에 심은 나무 > 마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8.15(목) 막 6:17-29 (0) | 2024.08.15 |
---|---|
2024.08.14(수) 막 6:14-16 (0) | 2024.08.14 |
2024.08.10(토) 막 6:1-6 (0) | 2024.08.10 |
2024.08.09(금) 막 5:35-43 (0) | 2024.08.09 |
2024.08.08(목) 막 5:21-34 (0) | 2024.08.08 |